본문 바로가기
고구리 대진

고구려 점령 날조…조작 ‘관구검기공비’ 가짜

by 고구리역사 2024. 3. 13.

https://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22741

 

스카이데일리, 고구려 점령 날조…조작 ‘관구검기공비’ 가짜

스카이데일리, 1906년 광개토태왕비가 있는 길림성 집안현에서 가로·세로 30cm...

www.skyedaily.com

 

1906년 광개토태왕비가 있는 길림성 집안현에서 가로·세로 30cm도 채 안 되는 작은 석판 하나가 발견되었는데, 거기에는 7행 48자의 예서체 글자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었다. 동양사학계에서는 이 석판은 위나라 관구검이 고구리 도읍 환도성을 점령하고 세운 것이라 하면서, 일명 ‘관구검기공비(毌丘儉紀功碑)’의 일부라고 주장하고 있다. 과연 그런지 먼저 석판의 문구를 해석해보기로 하겠다.
(1행) 正始三年高句驪反 (정시 3년 고구려가 뒤집어 )
(2행) 督七牙門討句驪五 (칠아문을 독려해 구려를 토벌했다. 5)
(3행) 復遣寇六年五月旋 (적을 돌려보내고는 6년 5월 개선했다)
(4행) 討寇將軍巍烏丸單于 (토구장군 외가 오환선우)
(5행) 威寇將軍都亭侯 (위구장군 도정후)
(6행) 行裨將軍領 (행비장군 영)
(7행) ◯裨將軍 (비장군)
그런데 이상한 점은 위 석판의 문구에서 관구검이라는 이름은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고, 관구검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도 사서기록과 일치하지도 않는데, 왜 이 석판을 ‘관구검기공비’로 확정했는지 정말로 지나가는 소가 웃을 일이 아닐 수 없다. 아마 그 이유는 <삼국지 위서 관구검열전>에 기록된 내용과 비슷한 문구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 중국책에 소개된 관구검기공비 문구 <사진=필자제공>

(1행) ‘正始三年高句驪反’이라는 문구가 있는데, 이 문구가 <삼국지 위서 관구검열전>과 비슷하다고 하는데 과연 그런지 서로 비교해보기로 한다.
(석판) 正始三年高句驪反 (정시 3년 고구려가 뒤집어)
(사서) 正始中 儉以高句驪數侵叛 (정시 중 고구려가 배반해 수차례 침범하자)
석판에는 뒤집을 反(반)자이고 사서기록에는 배반할 叛(반)으로 되어있는데, 이를 같은 뜻으로 보아야 하는지 의문이다. 참고로 비문은 사서에 비해 변조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기록과 비문이 상이할 경우에는 비문이 맞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석판과 관구검열전에 나오는 ‘고구려(高句驪)’가 주몽이 세운 ‘高句麗(고구리)’라는 나라를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아래 <한서지리지>에서 유주의 현토군에 속한 ‘고구려(高句驪)’현을 의미하는 것인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 고구려는 현토군에 속한 고구려현일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현토군에 속한 高句驪는 서안평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玄菟郡 현토군) 武帝元封四年开。高句骊,莽曰下句骊。属幽州(유주에 속한다)。户四万五千六。口二十二万一千八百四十五。县三:高句骊(고구려),辽山,辽水所出,西南至辽队入大辽水。又有南苏水,西北经塞外。上殷台(상은대),莽曰下殷。西盖马(서개마)。马訾水西北入盐难水,西南至西安平(서안평)入海,过郡二,行二千一百里。莽曰玄菟亭。
(번역) 한무제 4년에 설치했고, 고구려를 왕망이 하구려라 했다. 45,006호에 인구 221,845명이다. 고구려현, 상은대현, 서개마현의 3개현이 있다. 고구려현에는 요산이 있고 요수가 나오는 곳이다. 요수는 서남으로 요대까지 흘러 대요수로 들어간다. 마자수(압록수)는 서북으로 염난수에 들어가고 서남으로 흘러 서안평에서 해(황하)로 들어간다. 2개 군을 지나고 2,100리이다. 왕망이 현토정이라 했다.
정시 3년은 서기 242년으로 당시 고구리는 동천태왕 16년이다. 위나라는 공손씨 멸망 후 고구리에게 요동반환의 약속을 어기자, 대노한 동천태왕이 친히 십만 병력을 거느리고 242년 5월 요동의 서안평을 공격해 빼앗은 해였다. 물론 이 사건은 관구검이 고구리로 쳐들어오는 계기가 되었던 것은 사실이나, 그렇다고 이 석판이 관구검기공비의 일부라고 확정짓기에는 무리가 많다.
 ▲ 동천태왕이 빼앗은 서안평은 원래 산서성 남부 하진시 <이미지=필자제공>

 

(2행) ‘督七牙門討句驪五(칠아문을 독려해 구려를 토벌했다. 5)’라는 문구는 뒤에 이어지는 五자 때문에 정시 5년(244) 이전에 발생했던 어떤 일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1행에 ‘正始三年’이라는 문구와 3행에 ‘六年五月’이라는 문구가 있어 그럴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정시 3~4년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삼국지 위서 관구검열전>과 우리 기록을 비교해보기로 한다. (기록은 http://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21786 참조)
<삼국지 위서 관구검열전>에서의 ‘정시 중’은 정시 원년(240) ~ 5년(244)을 말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바로 이어지는 다음 기록이 ‘정시 6년(245)’으로 시작하기 때문이다. <관구검열전>에 의하면 2번에 걸쳐 관구검이 쳐들어와 모두 고구리의 도읍을 점령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중국 특유의 춘추필법에 의한 역사왜곡임이 분명하다.
두 기록에서 보듯이 정시 3년(242)~5년(244) 사이에는 관구검이 고구리를 침범한 적이 없다. 따라서 2행의 ‘督七牙門討句驪五(칠아문을 독려해 구려를 토벌했다. 5)’라는 문구는 관구검과 관련된 사건이 아니었음이 확실하다. 이 문구는 위나라가 고구리 동천태왕에게 잃어버린 서안평을 되찾기 위해 누군가가 국지전으로 공격을 한 기록이 아닌가 싶다.
(3행) ‘復遣寇六年五月旋(적을 돌려보내고는 6년 5월 되돌아왔다)’라는 문구를 관구검이 고구리를 정벌하고 6년(245) 5월 개선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는데, 이는 대단한 착오가 아닐 수 없다. 왜냐하면 <관구검열전>에는 관구검이 정시 6년(245)에 고구려를 정벌해 환도성에 각석기공비를 새겼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우리 기록에는 관구검의 2차 침공년도가 정시 7년인 246년으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답은 <삼국지 삼소제기(조방/조모/조환전)>의 “정시 7년(246) 봄 2월에 유주자사 관구검이 고구려를 치고, 여름 5월에 예맥을 토벌해 이들을 모두 격파했다 (七年春二月 幽州刺史毌丘儉討高句驪, 夏五月 討濊貊, 皆破之)”라는 기록이 해결해준다. 이 기록은 관구검이 패한 정시 5년(244)의 1차 침공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잠시나마 고구리의 도성을 함락시킨 246년의 2차 침공에 대해서만 간단하게 기록한 것이다.
혹자는 <삼국지 삼소제기>가 오류라고 말할 수도 있으나, 역사기록의 특성상 본기(本紀)와 열전(列傳)의 기록이 서로 상이할 경우에는 본기가 맞는 것으로 보고 있다. 왜냐하면 본기는 제왕에 대한 기록이고, 열전은 신하에 대한 기록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기는 제왕 곁에서 사관이 매일 기록한 사초를 근거로 편찬하지만, 열전은 나중에 사서를 편찬할 때 공이 있는 자를 끼워넣는 것이 상례이기 때문이다.
 ▲ 산서박물관에는 오환이 산서성 중동부에 그려져 있다. <사진=필자제공>

(4행~7행) 4행의 ‘討寇將軍巍烏丸單于(토구장군 외가 오환선우)’라는 문구를 두고 중국에서는 <관구검열전>에 “청룡 중에 관구검이 유주자사가 되니 오환선우 구루돈이 항복해왔다”라는 기록이라고 하는데, 이는 관구검이 정시 7년(246) 고구리를 침공하기 전에 있었던 일이므로 4행에 있을 수가 없는 기록이다. 따라서 이 문구 역시 관구검과 관련 없는 기록인 것이다.
4행의 討寇將軍(토구장군), 5행의 威寇將軍(위구장군 도정후), 6행의 行裨將軍(행비장군 영), 7행의 ◯裨將軍(비장군)은 장군의 호칭이다. 토구장군은 잡호장군의 하나로 제5품이고, 위구장군은 잡호장군의 하나이나 정벌을 나갈 때 임시로 부여하는 직책이고, 비장군은 부장급 장수를 통칭하는 것으로 잡호장군의 말석으로 8~9품이다.
 ▲ 관구검진군로에 요녕성에 그려진 오환. 따라서 이 지도는 조작됐다. <이미지=필자제공>
관구검의 호칭은 도요장군(度遼將軍, 3품)이었고 고구리를 침공할 당시 유주자사(4~5품)가 더해졌고 나중에 진동장군(鎭東將軍, 2품)으로 승진했기 때문에, 위 토구장군·위구장군·행비장군·◯裨장군은 관구검보다 낮은 직급의 전혀 다른 사람인 것이다. 혹자는 관구검에게 명을 받아 동천태왕을 추격했던 왕기(王頎)라고 보고 있으나, 그는 현토태수였지 품계를 받은 장군이었다는 기록이 그 어디에도 없다.
따라서 1906년 길림성 집안현에서 발견되었다는 석판 일명 ‘관구검기공비’는 관구검이 고구리 도성 환도성을 점령하고 세운 비석이 아니라, 관구검과 같은 시대에 살았던 낮은 직급의 다른 장군의 공적비석으로 보인다. 관직에 있던 사람이 죽으면 묘비에 그 사람의 공적을 새기는 법이라, 그런 비석의 일부가 아닌가 한다. 집안에서 발견된 석판이 관구검기공비가 아닌 것만은 분명하다.
이렇듯 작은 석판에 새겨진 정시(正始)라는 연호 이외에는 관구검과 연관시킬 수 있는 것이 아무 것도 없고, 또한 아무런 역사적 사실도 밝힐 수없는 작은 돌조각을 어떻게 관구검기공비라고 단정했는지 필자로서는 매우 의아하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이 석판이 길림성 집안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은 그야말로 중국에서 의도적으로 조작한 역사왜곡이 아닐 수 없다.
<다음 연재에 고구리 도읍 환도성의 위치가 어디인지 분명하게 밝혀집니다>